Artic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0 April 2019. 148-167
https://doi.org/10.7470/jkst.2019.37.2.148

ABSTRACT


MAIN

  • 서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연구의 내용 및 절차

  • 선행연구 검토

  • 현황 및 자료분석

  •   1. 현황분석

  •   2. 주요단어 선정

  •   3. 모집단 선정

  • 해양안전 영향도 분석결과

  •   1. 키워드 분석

  •   2. 그룹핑 분석

  •   3. 영향도 분석

  • 월별 사고특성 통계분석 결과

  •   1. 빈도수 분석

  •   2. 통계 분석

  • 결론 및 향후연구

  •   1. 결론 및 시사점

  •   2. 향후연구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해양사고의 방지를 위해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 왔으나 해양사고는 꾸준히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교통관련 통계지표에 따르면 낚싯배 이용자는 2007년 199만 명에서 2017년 415만 명으로 늘었고, 여객선 이용객은 2007년 1,263만 명에서 2017년 1,690만 명으로 늘었다. 이러한 수치를 반영하듯 해양사고 발생건수는 2007년 566건에서 2017년 2,582건으로, 인명피해 현황은 2007년 214명에서 2017년 523명으로 각각 늘어났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8).

이렇게 해양 안전사고가 증가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국민의 소득수준 향상 및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관광수요와 취미(낚시)활동 등이 증가되면서 해상을 이용하는 국민들이 점점 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양교통인구 증가에 따라, 해양안전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특히, 세월호 사고 이후로 시민들의 해양교통 안전에 대한 우려가 극도에 달하면서, 체계적인 해양교통 안전관리의 필요성도 제기되어 왔다.

정부는 해양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해양수산부에서 수립한 해사안전시행계획을 통해 사고특성을 인적요인, 물적요인, 환경적 요인 등으로 나누어 개선책을 제안하고 있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Maritime Safety Law(2017)에도 인적요인에 관하여는 선원 ‧ 선박소유자 등, 물적요인은 선박 ‧ 화물 등, 환경적 요인은 항행보조시설 ‧ 안전제도 등의 환경요인에 대하여 종합적 ‧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선박의 운용과 관련된 모든 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부터 사람의 생명 ‧ 신체 및 재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모든 활동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양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조직적 측면에 있어서도, 육상교통안전의 예를 들면서 육상교통의 경우, 1981년 한국교통안전공단을 설립하여 교통안전 교육 ‧ 연구 및 관련 검사를 전담함에 따라 설립 이후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크게 감소하는 등 그 효과성이 드러난 만큼 해상교통 역시 교통안전 업무를 전담하는 전문기관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8).

이렇게 해양교통 이용자 증가라는 환경의 변화, 그리고 최근의 사건 ‧ 사고 등을 통해 나타난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향상된 요구에 직면하여, 정부는 해상교통안전의 개선책을 다각도로 제시하고 있지만 사고발생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점을 통해 볼 때, 현재로서는 아직 부족해 보인다. 시대가 변화는 만큼 신종 교통사고도 증가되며, 특히 해양사고는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을 통한 사고발생 비중이 높은 만큼 이러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시대적 측면이 잘 반영되며 연관검색어로 다양한 요인과 결합시킬 수 있는 온라인 Social Data를 활용하여 해양안전의 영향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해양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정책 수립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연구의 내용 및 절차

본 연구는 소셜 데이터(Social Data)를 기반으로 해상안전의 영향도 분석을 시행한 뒤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영향도 분석을 위한 데이터 분석 범위는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1년간 자료를 사용하였고, 수집채널은 온라인 뉴스 사이트 257개, 카페(네이버, 다음), 트위터, 블로그(네이버, 다음, 티스토리, 이글루스), 게시판(아고라, 뽐뿌 외 15개)등을 통해 뉴스 800만 건, 트위터 등 9,500만 건 자료인 총 1억 건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모집단을 선정하기 위한 주요 단어는 해양안전사고와 관련된 자료가 수집될 수 있도록 정리하였고, 모집단을 기반으로 키워드 분석 및 영향도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외 월별 사고특성의 영향도를 분석하기 위해 월별로 도출되는 주요 단어의 빈도수를 기반으로 SPSS의 다항회귀분석 통해 영향변수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순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한 뒤 해양교통사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전반적인 현황분석 및 기초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특성변수에 대한 검증은 SPSS를 사용하여 통계적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에 따라 결과를 해석한 뒤 활용방안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

세계 각 나라는 IT시대에 접어들었고, 각 분야의 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관심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회 및 자연 과학자들에게도 네트워크 이론은 사회학, 심리학, 경제학, 경영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사회특성을 설명해주는 도구로 작용하고 있다(Borgatti et al., 2009).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네트워크 이론이라는 관점에서 노드와 링크를 기반으로 사회관계의 구조적 특성과 조직행동 등을 보여줄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Akhtar, 2014; Luo and Zhong, 2015).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교통분야의 기존 사례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Kim et al.(2016)은 기존 4단계 교통수요추정방법의 한계점이 존재하는 만큼 활동기반교통모형(Activity-Based Model)을 이용한 수요 추정 방법을 분석하였다. 이는 공간정보를 포함한 SNS를 대상으로 공간정보를 추출한 뒤, 이를 기반으로 현재의 통행기반 교통모형(Trip-Based Model)과 비교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결과 최근 이슈인 도심 내에서의 국지적 교통 혼잡을 대응하기에는 통행기반 교통모형은 한계가 있으며, 단거리 통행특성까지 섬세히 파악할 수 있는 활동기반 모형의 필요함을 보이고 있다. 향후 소셜 빅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교통분야 빅데이터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Lee et al.(2014)는 2013년 1-12월의 부산지역지인 국제신문과 부산일보의 기사들 중 ‘부산’과 ‘교통’을 동시에 포함한 2889건의 기사 내용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데이터마이닝의 일부인 텍스트마이닝(textmining)의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개장과 이로 인한 인근교통체증 증가 및 해운대 해수욕장이 큰 이슈가 되었고, 이외 교통체증이 가장 심각한 만덕교차로, 전국 호환교통카드가 선보인 것이 주요 이슈로 나타났다. 빅 데이터에 의한 분석방법은 다양한 분야와 연계해석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Han(2016)은 소셜데이터를 교통안전과 연결시켜 현재 교통안전의 분석결과 및 정책제안의 연구를 시행하였다. 교통안전이라는 검색어로 2014-2015년 2년간의 13억 건의 소셜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안전의 10대 단어는 어린, 어린이, 교통사고, 운전자, 자동차, 경찰청, 보행자, 안전교육, 도로교통공단, 횡단보도로 나타났고, 국내의 교통안전의 활동은 특히 어린이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Figure 1).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1.jpg
Figure 1.

Application of big data in web-social

Oh(2017)는 웹-소셜의 빅데이터 기반으로 부산교통의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약 1년간(2015.07-2016.10)을 대상으로 전체 소셜데이터 544,526,131건을 활용하였다. 적용사례는 시내교통현황, 자동차 및 대중교통 관련 이슈, 교통시스템 개선 등을 분석하였고, 각 주제에 따라 네트워크 분석 및 이슈에 대한 소셜 반응과 연계분석을 통해 연구를 시행하였다(Figure 2).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2.jpg
Figure 2.

Application of big data in web-social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교통분야 이외의 기존 사례연구는 다음과 같다.

Park et al.(2016)은 전주시를 사례로 국제영화제 개최, 전주영상위원회 및 전주영화종합촬영소 설립 등 촬영유치를 위해 풍부한 기반 환경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촬영 이후 활용 방안이 미흡한 만큼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SNS (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를 대상으로 특정 구문을 포함한 트윗을 수집한 뒤 그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해당 지역이 영화 촬영지임을 알리는 표시 또는 홍보가 필요하고, 지리적으로 근접한 촬영지끼리 묶어 관광 루트화 시키며, 지역 이벤트와 연관된 홍보가 이뤄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Choi and Kwon(2017)은 최근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는 빅 데이터 관련 신문기사를 분석, 새로운 기술과 현상인 빅 데이터에 대해 언론이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까지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4개 전국종합일간지에 보도된 관련 기사를 수집하여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빅 데이터 관련 신문보도의 의미구조는 2011년 중립적 성격에서 2012년부터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보도가 실용적 차원의 활용가치에 집중되어 있어 미래사회를 향한 경쟁을 촉구하고 그 결과로서 예측되는 장밋빛 정보사회를 기술하고 있다고 추하였다. 소셜 빅 데이터 분석은 감성단어의 의미를 재해석함으로 정량데이터가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설명하고 있다.

Lee(2018)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족여행과 나홀로 여행을 중심으로 소셜 데이터를 수집한 뒤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인의 여행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사이트는 네이버와 다음에서 각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자들이 생성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주요연관 단어와 빈도 분석, 주요연관 단어와의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탐색을 위한 CONCOR분석을 시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여행과 나홀로 여행의 주요 연관 단어 빈도분석결과 여행목적지, 숙박형태, 여행시기, 여행기간 등이 주요단어로 도출되었고, 네트워크 및 CONCOR분석은 Figure 3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3.jpg
Figure 3.

Case study (network & CONCOR analysis)

기존 사례연구를 살펴본 결과 빅 데이터에 대한 관심은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소셜 빅 데이터는 정량적 데이터에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제시하는 등 활용범위는 보다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교통영역에서 소셜 데이터 사용은 상대적으로 적고, 정량적 데이터 위주의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 소셜 데이터는 시대적 트렌드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타 분야와의 영역을 넘나들며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시킬 수 있는 기술적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교통 분야의 사고는 시간이 흐를수록 고령화시대에 따른 고령자 사고 증가, IT시대에 따른 스몸비 사고증가 등 신종사고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비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특히, 해상교통안전의 중요성이 큰 사회적 이슈가 되어 국민들의 우려가 집중된 된 만큼 정부는 국민의 입장에서 공감될 수 있는 해상교통안전정책을 수립시켜야 되며, 나아가 시대적 환경이 급속히 변화는 만큼 국민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대적 측면이 잘 반영되어 있고, 다양한 요인과 결합 시킬 수 있는 온라인 Social Data를 기반으로 해양교통사고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해양교통사고는 특히 가용자료가 적고, 원인이 복잡한 만큼 Social Data를 활용하여 사고특성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였다.

현황 및 자료분석

1. 현황분석

해양안전의 영향도를 분석하기 위해 해양조난사고 통계연보(2015년 기준)를 기준으로 사고특성을 살펴보았다. 통계연보의 사고특성은 선박규모별, 선정별, 기상별, 월별, 구조기관별, 사고유형별, 사고원일별, 발생해역별, 선질별로 나누어 사망/실종 사고의 수치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선박규모별 사고특성의 경우 사망/실종 비중은 5톤 미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종별 사고현황은 어선 및 낚시어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1).

Table 1. Accident characteristics by ship size and type (unit: ships/people)

Ship size All Less than
5 tons
5 to 20 tons 20 to 100 tons 100 to 500 tons More than
500 tons
Death and missing 101/112 58/36 12/27 18/25 5/15 8/9
Total 2,740/18,835 1,211/2,897 605/3,675 540/4,256 149/3,778 235/4,229
Ship type All Fishing vessel Fishing boat Cargo ship bargemarine Etc.
Death and missing 101/112 51/73 2/20 2/7 11/5 33/7
Total 2,740/18,835 1,467/6,275 207/2,343 124/1,329 145/317 797/8,571

기상별 사고현황의 경우 황천급에서 사고율이 높으며, 월별 사고의 경우 9월에서 가장 높은 사망/실종자수를 보이고 있다(Table 2).

Table 2. Table 2. Accident characteristics by weather and monthly (unit: ships/people)

Weather Sum Typhoon/
wind alarm
Typhoon/
wind storm
warning
Hwangcheon*
1-4 grade
Hwangcheon
5 grade
Low
visibility
Favorable
Death and missing 101/112 1/0 8/8 1/2 4/32 4/2 83/68
Total 2,740/18,835 91/581 100/807 97/678 2452/16,769
Monthly Sum 3M 4M 5M 6M 7M 8M 9M 10M 11M 12M 1M 2M
Death and missing 101/112 16/4 10/8 8/5 9/7 16/1 6/8 6/32 8/6 5/4 4/12 11/22 2/3
Total 2,740/18,835 873/6,302 834/4,683 1,033/7,850
*Hwangcheon: stormy weather.

구조기관별 사고현황의 경우 해양경찰의 사고대처방안이 가장 높으며, 사고유형별 사고현황의 경우 전복이 가장 높은 사망/실종자수를 보이고 있다(Table 3).

Table 3. Accident characteristics by rescue organization and type of accident (unit: ships/people)

Rescue organization Sum Marine police Private structure Solve yourself Fishing boat Etc.
Death and missing 101/112 83/100 1/1 2/3 10/3 5/5
Total 2,740/18835 2,073/13377 167/826 234/3122 167/924 20/586
Type of accident Sum Crash Strand Overturn Fire Sink Casualty
accident
Etc.
Death and missing 101/112 13/15 2/1 5/27 12/4 23/17 3/41 43/7
Total 2,740/18835 298/2361 83/618 45/88 128/533 38/93 144/567 2,004/14575

사고원인별 사고현황의 경우 운항부주의 및 기상악화에 따른 사고율이 높고, 발생해역별 사고현황은 영해에서 사고율이 높으며, 선질별 사고현황의 경우 강선 및 FRP에서 사망/실종자수는 높게 나타났다(Table 4).

Table 4. Accident characteristics by cause of accident, occurrence area and ship’s material (unit: ships/people)

Cause of accident Sum Flight carelessness Loading defect Weather deterioration Etc.
Death and missing 101/112 16/27 3/3 6/23 76/59
Total 2,740/18835 853/5996 12/56 66/357 1809/12426
Occurrence area Sum Within the
boundaries
Narrow
waters
Territorial
waters
Territorial
waters-EEZ*
Within
EEZ30 miles
Foreign waters
and Etc.
Death and missing 101/112 45/19 8/2 38/65 5/11 3/11 2/3
Total 2,740/18,835 650/3,354 139/778 1,640/11,510 255/2,648 19/187 37/358
;
Ship's material Sum Iron FRP** Aluminum Wooden boat Etc.
Death and missing 101/112 21/36 51/74 0/0 5/1 24/1
Total 2,740/18,835 581/8,103 1,837/8,726 15/1,095 35/84 272/827
*EEZ: exclusive economic zone,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2. 주요단어 선정

해양안전의 영향도를 분석하기 위해 사망자/실종자의 주요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였다. 전체사고자수 대비 사망 실종자수가 높은 사고(=사망실종 비중(%)) 및 사고 건수당 사망실종자수가 높은 사고(=사망실종 규모(명/척))를 타켓으로 지표를 선정하였다(Table 5).

Table 5. Evaluation index based on reduction targets

Evaluation index 1 (death and missing weight) Evaluation index 2 (death and missing scale)
Death and missing weight (%) = Deaths and missing
persons (people) / Total number of casualties (people)
Death and Missing scale (people/ships) = Deaths and missing
persons (people) / Total number of accident (ships)

해양교통사고 통계현황을 통해 사망실종 비중(지표 1) 및 사망실종 규모(지표 2)를 계산한 뒤 수치가 가장 높은 사고유형을 선정하였다(Table 6). 선박규모는 사망실종 비중은 5톤 미만, 사망실종 규모는 100-500톤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규모가 적은 선박에서 사망자 관련 영향도가 높은 만큼 5톤 및 소형을 온라인상의 용어1)로 선정한 뒤 이를 기준으로 키워드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종은 낚시어선, 날씨는 황천급, 월별은 7-12월, 1월, 2월, 구조기관은 해양경찰, 사고종류는 전목, 사고원인은 기상악화, 발생기역은 EEZ 30마일 이내, 선박제질은 FRP 및 철 종류에서 사망자 관련 통계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이 가운데 월별분석은 단어의 빈도수를 기반으로 SPSS 활용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Table 6. Selection of key words to measure evaluation index

Division Ship size Ship type Weather Monthly Rescue
organization
Type of
accident
Cause of
accident
Occurrence
area
Ship's
material
Death and
missing weight
(%)
Less than
5 tons
Fishing
vessel
Hwang
cheon
7-10
month
Marine
police
Overturn Weather
deterio
ration
Within
EEZ30
miles
FRP
1.2 1.2 4.2 1.0 0.7 30.7 6.4 5.9 0.85
Death and
missing scale
(people/ships)
100 to
500 tons
Fishing
boat
Hwang
cheon
11-2
month
Marine police Overturn Weather
deterio
ration
Within
EEZ30
miles
ship of
iron
3.0 10 6.8 1.9 1.2 5.4 3.8 3.7 1.7
Main key word
(online terms)
Small type,
5 tons
Fishing
vessel and
boat
Typhoon
warning
SPSS
(Statistical
analysis)
Marine
police
Overturn Weather
deterio
ration
EEZ Technical
terms
(drop)

3. 모집단 선정

키워드 분석을 시행하기 위한 모집단 선정은 Table 7과 같다. 데이터 분석범위는 소셜 빅데이터인 트위터, 블로그, 커뮤니티, 뉴스채널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분석날짜는 2015년 1-12월 자료를 사용하였다.

Table 7. Selection of key words to make up a population

Subject term Key word
Basic words (Ocean or sea - 2),
(Ship or Fishing boat/vessel or Passenger ship - 3),
(Marine police or Marine policy or Marine safety or
Marine management organization or Ship safety - 6)
and (Problem or Measure or
Accident or Fire - 4)
Meaning similar to the
word 'Accident'
(+) Marine pollution, Marine fire, Maritime burglary, Maritime terrorism, Marine leisure
accidents
Meaning similar to the
word 'Marine police'
(+) Marine security, Marine rescue team, Marine guards
Meaning similar to
'Marine management
organization'
(+) Navy,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Ocean policy department and office,
Marine environmental policy,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Exclusion of idioms
(Unused language)
(-) Recruitment, Academy, Examination, Notice, Passing, Expo, Experience, Cultural center,
Program, Fair, Competition, Anual salary

모집단 선정을 위한 주제어는 해양안전사고와 관련된 내용을 취득하기 위해 기본단어의 조합(명사(2/3/6) and 명사(4)의 조합)을 선정하였고, 이외 해양사고와 연관된 내용을 유추할 수 있는 명사를 추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불용어를 선정하여 불용어가 삽입된 데이터는 제외한 뒤 모집단을 선정하였다.

1)지표의 단어가 특수용어인 경우 일반용어로 변화

해양안전 영향도 분석결과

해양안전의 영향도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순서는 Figure 4와 같다. 우선 해양사고 주요통계 7항목을 기준으로 키워드 분석을 시행하였다. 키워드 분석은 설정된 모집단 속에서 Table 6에서 지정된 온라인 용어를 입력하였을 경우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추출하였다(Step 1). 추출된 단어를 통해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단어를 한 데 묶어서 그룹핑 작업을 시행하였다(Step 2). 이후 그룹핑 된 단어를 기준으로 해양안전 영향도를 추정하였다(Step 3). 영향도 분석은 주요통계 항목별 내용 및 특성이 상이한 만큼 영향 받는 대상 및 지역, 사고원인 및 해결방안, 관련기관으로 기준을 선정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4.jpg
Figure 4.

Analysis procedure of marine safety impacts

1. 키워드 분석

각 주요통계의 7개항목별 기준 키워드 분석을 시행한 결과 Figure 5와 같다. 주요 키워드인 소형/ 5톤(선박규모)의 경우 유조선, 5톤 미만, 태풍경보(기상관련)는 바람, 파도, 어선/낚시어선(선종관련)은 인근, 통신 등이 높게 나타났다. 해양경찰(구조기관)은 연안, 전복(사고유형)은 인근, 기상악화(사고원인)는 회항, 배타적 경제수역(발생해역)은 불법조업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 유조선의 경우 소형선과 충돌 비중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5.jpg
Figure 5.

Keyword analysis results based on population

2. 그룹핑 분석

주요통계 가운데 선박 규모와 연관된 키워드 분석을 통해 그룹핑 작업을 시행한 결과 Figure 6과 같다. 선박규모에 따라 기계 및 통신, 선박규모, 기관 및 대원, 사고원인, 사고위치, 대처방안, 기타 등을 기준으로 유사의미를 지닌 단어로 그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6.jpg
Figure 6.

Grouping result related to ship size

선박의 종류에 따라 기계 및 통신, 선박규모, 기관 및 인원, 사고원인, 사고위치, 대처방안, 현재상태, 기타등을 기준으로 유사의미를 지닌 단어로 그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Figure 7).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7.jpg
Figure 7.

Grouping result related to ship type

기상별 사고에 따라 선박종류, 사고시간, 사고위치, 현재상태, 기관 및 대원, 날씨 및 강도, 대처방안 등을 기준으로 유사의미를 지닌 단어로 그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Figure 8).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8.jpg
Figure 8.

Grouping result related to weather

사고유형별 사고에 따라 선박종류, 사망자수, 사고위치, 현재상태, 기계 및 통신, 기관 및 대원, 대처방안 등을 기준으로 유사의미를 지닌 단어로 그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Figure 9).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9.jpg
Figure 9.

Grouping result related to type of accident

구조기관별 사고에 따라 인사사고 형태, 기관 및 대원, 사고위치, 대처방안 등을 기준으로 유사의미를 지닌 단어로 그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Figure 10).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10.jpg
Figure 10.

Grouping result related to rescue organization

사고원인별 사고에 따라 기계 및 통신, 사고위치, 사고원인, 기관 및 대원, 대처방안 등을 기준으로 유사의미를 지닌 단어로 그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Figure 11).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11.jpg
Figure 11.

Grouping result related to cause of accident

발생해역별 사고를 기준으로 사고원인, 대처방안, 협상안, 사고위치, 현재상태, 기관 및 대원 등을 기준으로 유사의미를 지닌 단어로 그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Figure 12).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12.jpg
Figure 12.

Grouping result related to occurrence area

3. 영향도 분석

그룹핑 분석을 기반으로 해상교통안전의 영향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영향도 분석은 주요통계 항목별 내용 및 특성이 상이한 만큼 영향 받는 대상 및 지역, 사고원인 및 해결방안, 관련기관으로 영향도를 추정하였다.

선박규모별 사고특성(소형 및 5톤 미만) 결과 사고원인은 기계관련 엔진, 통신장비, 안전체크, 날씨와 연관성이 높으며 해결방안은 예방활동, 안전장비, 및 인근병원의 위치 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Table 8).

Table 8. Scenario analysis for improvement of accident by ship size

Target (reference value) Cause Solution plan
Within 2 tons, Fishing
boat and Fishing vessel
Machine related: Engine check, communication equipment, remodeling Prevention activities,
Safety equipment,
Hospital accessibility
Other related: Safety check, weather

선종별 사고특성(어선 및 낚시배)의 경우 사고지역은 남쪽(전남, 해남), 사고원인은 충돌, 화재 또는 자연재해(파도, 바람)로 인한 사고발생이 높고, 해결방안은 V-Pass장착, 경비정 및 헬기 등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관련기관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 해양경비안전본부 등의 영향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9).

Table 9. Scenario analysis for improvement of accident by ship type

Target (reference value) Location Cause Solution plan (→ Related organization)
Ship, Fishing boat Jeonnam,
Haenam,
South
Human factors:
Crash, Fire
Communication,
Fishing location,
V-PAS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arine police,
Maritime safety and security division
Natural factors:
Waves, Wind
Patrol boat,
Helicopter

기상별 사고특성의 경우 대상은 선박, 어선으로 지역은 남쪽(제주, 남해안)에서 사고발생이 높고, 해결방안은 주의 및 대피 훈련 등의 교육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관련기관은 기상청, 교통관제센터, 안전대책 본부 등의 영향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10).

Table 10. Scenario analysis for improvement of accident by weather

Target Location Cause (reference value) Solution plan (→ Related organization)
Ship, Fishing boat Jeju, South coast,
South, Coast road
Waves, Wind, Rainfall Attention,
Evacuation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raffic control center, Safety division

사고유형별 사고특성(전복사고 기준)의 경우 대상은 선박, 낚시어선으로 지역은 남쪽(제주, 전남, 해남), 사고원인 정원초과, 날씨, 선장으로 인한 사고발생이 높고, 해결방안은 항공기, 경비함정, 수색작업(조명탄)등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관련기관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 해양경비안전본부 등의 영향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11).

Table 11. Scenario analysis for improvement of accident by type of accident

Target Location Cause Solution plan (→ Related organization)
Ship, Fishing boat,
Fishing
Jeonnam, Haenam,
Shinyang port,
Namsung port,
South, Jeju
Boarding garden,
Captain, Waves
Aircraft, security traps,
Star shell,
Search operations,
Communication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arine police,
Marine safety and security division

사고원인별 사고특성(기상악화 기준)의 경우 사고원인은 증편, 운항횟수, 초과승선 등 무리한 운영 및 불법조업 등이 높고, 해결방안은 강제회항, 운항통제, 문자서비스, 대피요령 훈련 및 구명설비, 기관설비 점검 등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관련기관은 해양경찰, 민간잠수사, 해사안전감독관, 운항관리자 등의 영향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12).

Table 12. Scenario analysis for improvement of accident by cause of accident

Cause Solution plan (→ Related organization)
Increase, Overboard,
Number of flights,
Illegal operation, Neglect
Control: Sail back, Flight control, Text service Marine police, Private diver,
Marine safety supervisor,
Flight manager
Rescue equipment: Evacuation tips, Life-saving equipment, Machinery equipment, Special inspection

발생해역별 사고특성(배타적 경제수역 기준)의 경우 대상은 중국어선, 지역은 남중국, 북서쪽, 사고원인은 불법조업 및 침범 등이 높고, 해결방안은 협상, 타결, 협력등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관련기관은 해양경찰, 자유무역협정, 어업공동위원회 등의 영향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13).

Table 13. Scenario analysis for improvement of accident by occurrence area

Target Location Cause Solution plan (→ Related organization)
Chinese fishing boat South China Sea,
Northwest,
Bering Sea
Illegal fishing work,
Unauthorized,
Invasion
Negotiation,
Settlement,
Cooperation
Marine police,
Free trade agreement,
Fishing joint committee

구조기관별 사고특성의(해양경찰 기준)의 경우 구조인은 어린이, 부모님,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 느낌은 해경의 희생 및 감사, 노고 등이 높게 나타났다. 해결방안은 쾌속선, 헬기, 부족한 장비시설(의료진 포함)의 보완 및 합동훈련 등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관련기관은 119구조단, 해양경비안전 등의 영향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14).

Table 14. Scenario analysis for improvement of accident by rescue organization

Rescuer Feelings Solution plan (→ Related organization)
Children, Parents, Pregnant Thanks, Hurt, Pain, Sacrifice Equipment improvement,
Rapid ship, Joint training,
Medical staff, Helicopter
119 rescue team,
Marine security safety

월별 사고특성 통계분석 결과

1. 빈도수 분석

모집단을 기반으로 월별로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나열한 결과 Figure 13과 같다. 2014년은 세월호 사고가 발생된 해인만큼 2015년 월별기준 주요단어 역시 해양사고 및 세월호와 관련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단어를 살펴보면 월별로 지속적으로 도출되는 단어들이 존재하다. 지속적으로 도출되는 단어는 중요도가 높은 의미로 해석되고, 본 연구는 9개월 이상(80%기준) 지속적으로 도출되는 단어를 주요단어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정리한 결과 Table 15와 같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t/2019-037-02/N0210370206/images/kst_37_02_06_F13.jpg
Figure 13.

Monthly frequency analysis of marine accidents

Table 15. Monthly frequency analysis of marine accidents

Monthly
frequency
Main words 2015 Total Ave
rage
SD SD/
Avg.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2 months
continuous
Travel 101 96 88 94 56 125 113 80 104 65 90 74 1086 91 19 21%
Law 534 283 378 333 429 512 478 367 322 297 306 377 4616 385 82 21%
Environment 207 89 180 157 191 183 222 172 127 152 192 131 2003 167 36 22%
Minister 513 371 485 612 441 395 330 237 530 342 502 465 5223 435 100 23%
MOF 1116 878 1006 1838 1055 796 1011 1010 1198 904 1001 1198 13011 1,084 255 23%
Japan 310 237 403 442 358 344 567 311 272 266 325 394 4229 352 87 25%
damage 666 259 434 609 267 429 535 460 515 439 426 363 5402 450 116 26%
NIS 141 111 93 114 91 63 129 138 69 58 113 123 1243 104 27 27%
Safety 750 487 543 946 558 885 832 504 927 504 532 454 7922 660 183 28%
MOF (abb.) 538 572 725 1285 676 490 719 652 809 568 700 793 8527 711 198 28%
11 months
continuous
Departure 389 111 228 143 249 305 158 1558 329 227 289 3986 362 386 107%
Salvation 396 237 835 1917 224 676 261 416 621 191 180 5954 541 483 89%
Jindo 750 174 165 709 193 160 197 196 121 172 163 3000 273 216 79%
NSA 177 430 781 332 216 251 199 914 177 209 395 4081 371 241 65%
Students 493 264 282 477 170 127 104 113 103 110 300 2543 231 139 60%
Diver 123 64 238 115 96 131 247 334 66 75 196 1685 153 84 55%
Park Geun-hye 200 108 102 262 84 140 86 57 111 123 170 1443 131 56 43%
President 361 258 263 563 218 260 238 207 110 419 243 3140 285 116 41%
Saenuri Party 627 422 338 414 234 220 297 278 187 576 298 3891 354 136 39%
Suspicion 340 185 301 242 126 144 88 155 144 277 265 2267 206 79 38%
10 months
continuous
Ferry Sewol
accident
558 270 351 842 275 289 213 296 311 243 3648 365 183 50%
Special Sewol
Act
239 116 255 1099 560 288 312 61 253 191 3374 337 283 84%
Wave 367 114 95 137 437 329 818 204 246 172 2919 292 206 70%
Fire 476 141 180 425 178 210 267 120 352 335 2684 268 117 44%
Hospital 330 309 297 123 256 194 236 298 208 260 2511 251 60 24%
Boating accident 88 119 120 416 157 531 418 111 319 119 2398 240 156 65%
Equipment 191 288 149 236 220 231 408 198 205 191 2317 232 68 29%
Service 205 155 265 214 171 144 255 167 231 211 2018 202 40 20%
Marine
pollution
145 248 105 137 162 135 184 160 148 319 1743 174 60 34%
Naval accident 153 96 217 64 175 308 86 202 96 187 1584 158 71 45%
9 months
continuous
Missing 498 434 926 387 477 246 1288 238 141 4635 515 346 67%
Cheongwadae 466 615 286 486 203 265 266 403 243 3233 359 132 37%
Lllegality 157 297 189 299 153 403 252 190 175 2115 235 80 34%
Ppatrol boat 534 86 248 175 124 137 298 163 187 1952 217 127 59%
System 123 192 219 132 114 131 72 277 126 1386 154 60 39%
National tax 45 35 126 113 46 51 28 99 82 625 69 34 49%
Search 457 145 1165 347 443 232 2261 161 221 5432 604 655 109%
Body of a ship 310 139 833 440 303 302 723 199 459 3708 412 219 53%
Assumption 218 506 556 284 156 153 1208 240 277 3598 400 316 79%
Details 706 748 134 187 262 477 211 245 245 3215 357 217 61%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NI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SA: National Security Agency.

9개월 이상 도출된 단어를 기준으로 의미를 살펴보니 유사단어가 다수 존재한다. 유사 의미를 지닌 단어들을 한데 묶어 1차 그룹핑을 시도 하였으며 이는 Table 16과 같다.

Table 16. 1st grouping result based on key words

Table 16. 1st grouping result based on key words
Word derived from more than 9 months (similar meaning) Group (1)
Wind, Weather, Wave Weather influence
South, Jeonnam, Jeju South
President, Park Geun-hye, Park Geun-hye president, Park president president
Saenuri Party, Opposition party, Minister, Government, Politics, Cheongwadae Minister
Mobile, Service, System Information
Accident occurring, Boating accident, Safety accident, Marine accident, naval accident, Marine traffic accident Accident occurring
Dead, Children, Missing, Missing person, Damage, Victim, Students Victim
Ship, Vessel, Fishing boat, Fishing vessel Small sized ship
Passenger ship, Cruise ship, Travel Sightseeing boat
Ferry Sewol, Ferry Sewol incident, Sewol disaster, Sewol accident, Ferry Sewol sunk, Special Sewol act Ferry Sewol
Sinking, Sinking accident Sinking
MOF (Abbreviation), MOF, NSA NIS, Police, Maritime police, Navy Government agency
Helicopter, Patrol boat, Diver Security investigation
Japan, China foreign country
Safety, Equipment, Hospotal Safety equipment
Overturn, Crash, Fire, Illegality Cause of accident

1차 그룹핑 결과를 기반으로 사고특성별(사고발생, 원인자, 위치, 사고종류, 사고원인, 대처방안 등)로 2차 그룹핑한 결과 Table 17과 같다.

Table 17. 2st grouping result based on 1st grouping result

Group (2) Group (1) 2015 Total Ave
rage
SD SD/
Avg.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Accident Accident
occurring
1488 940 1300 2381 963 1999 2119 1039 2237 541 857 1310 17174 1,431 586 41%
Victim 3303 1847 3552 4421 489 2423 1572 1192 5152 1164 1099 1565 27779 2,315 1,406 61%
Sightseeing boat 707 895 546 822 299 2033 696 272 499 434 387 367 7957 663 457 69%
Ferry Sewol 5597 3216 4103 1126
0
3785 3693 3859 1978 3174 1551 3490 4059 49765 4,147 2,360 57%
Small sized ship 2204 964 1402 2011 1136 1940 1504 1437 4890 1618 1553 1634 22293 1,858 974 52%
Local
situation
Foreign country 792 512 795 753 796 2956 1023 893 597 698 860 845 11520 960 615 64%
South 1395 461 2127 920 521 630 1022 607 4264 755 590 623 13915 1,160 1,039 90%
Accident
type
Overturn 348 308 232 393 - 237 - - 1998 243 - - 3759 537 599 112%
Crash 320 474 257 524 205 169 306 234 459 196 219 153 3516 293 121 41%
Sinking 2204 1643 1212 2273 679 2947 872 526 958 674 610 976 15574 1,298 756 58%
Fire 476 141 180 425 178 - - 210 267 120 352 335 2684 268 117 44%
Illegality - - 157 297 189 299 - 153 403 252 190 175 2115 235 80 34%
Accident
cause
Government
agency
5146 3113 6593 7292 3896 3416 4051 3346 9486 3347 3764 4756 58206 4,851 1,891 39%
president 1138 907 793 2490 772 1205 848 189 587 377 1557 959 11822 985 573 58%
Minister 3211 2451 2699 4966 2434 2427 2699 965 2073 1420 3532 2241 31118 2,593 975 38%
Weather
influence
1011 387 420 630 343 699 1117 967 1850 641 690 646 9401 783 398 51%
Reform
Measures
Security
investigation
1193 150 2159 364 462 233 131 388 1581 501 379 623 8164 680 606 89%
Safety
equipment
1271 487 852 1531 830 1377 1246 971 1633 910 997 645 12750 1,063 337 32%
Information 381 409 644 650 481 267 271 302 666 228 428 329 5056 421 151 36%

2. 통계 분석

월별 사고특성 별 영향변수를 도출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한 다항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일반사고로 사고발생건수 및 피해자로 선정하였고, 특정사고로 소형선박, 관광어선, 세월호를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월별 지속적으로 도출되는 단어를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가용변수는 Table 18, Table 19와 같다.

Table 18.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General accident: Accident occurring, Victim
Specific accident: Sightseeing boat, Ferry Sewol,
Small sized ship
Foreign country, South, Overturn, Crash, Sinking, Fire,
Illegality (Renovation), Government agency, President, Minister,
Weather influence, Security investigation, Safety equipment,
Information

Table 19. Monthly frequency of available variables

Variable 2015
01
2015
02
2015
03
2015
04
2015
05
2015
06
2015
07
2015
08
2015
09
2015
10
2015
11
2015
12
Dependent
variable
Accident occurring 1488 940 1300 2381 963 1999 2119 1039 2237 541 857 1310
Victim 3303 1847 3552 4421 489 2423 1572 1192 5152 1164 1099 1565
Sightseeing boat 707 895 546 822 299 2033 696 272 499 434 387 367
Ferry Sewol 5597 3216 4103 11260 3785 3693 3859 1978 3174 1551 3490 4059
Small sized ship 2204 964 1402 2011 1136 1940 1504 1437 4890 1618 1553 1634
Independent
variable
Foreign country 792 512 795 753 796 2956 1023 893 597 698 860 845
South 1395 461 2127 920 521 630 1022 607 4264 755 590 623
Overturn 348 308 232 393 0 237 0 0 1998 243 0 0
Crash 320 474 257 524 205 169 306 234 459 196 219 153
Sinking 2204 1643 1212 2273 679 2947 872 526 958 674 610 976
Fire 476 141 180 425 178 0 0 210 267 120 352 335
Illegality 0 0 157 297 189 299 0 153 403 252 190 175
Government agency 5146 3113 6593 7292 3896 3416 4051 3346 9486 3347 3764 4756
president 1138 907 793 2490 772 1205 848 189 587 377 1557 959
Minister 3211 2451 2699 4966 2434 2427 2699 965 2073 1420 3532 2241
Weather influence 1011 387 420 630 343 699 1117 967 1850 641 690 646
Security investigation 1193 150 2159 364 462 233 131 388 1581 501 379 623
Safety equipment 1271 487 852 1531 830 1377 1246 971 1633 910 997 645
Information 381 409 644 650 481 267 271 302 666 228 428 329

분석결과 일반사고 및 특종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는 Table 20, Table 21과 같다. R 제곱은 0.6 이상으로 나타났고, Durbin-Watson는 2 내외를 보이면서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0. Model summary

Model R R2 Adjusted
R2
Std. error
of the
estimate
Statistic variation Durbin-
Watson
R2
variation
F
variation
df1 df2 Significance
level F
variation
General
accident
Accident occurring .803 .644 .609 382.71979 .644 18.118 1 10 .002 1.815
Victim .972 .945 .933 381.09286 .145 23.660 1 9 .001 1.141
Specific
accident
Small sized ship .985 .970 .959 205.38016 .025 6.649 1 8 .033 1.691
Sightseeing boat .957 .916 .897 152.73611 .185 19.860 1 9 .002 2.401
Ferry Sewol .887 .787 .766 1191.90735 .787 37.032 1 10 .000 2.323

Table 21. Coefficients

Model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Sig. Collinearity
statistics
B Std. Error Beta Tolerance VIF
General
accident
Accident
occurring
(Constant) -52.584 365.676 -.144 .889
Safety equipment 1.396 .328 .803 4.256 .002 1.000 1.000
Victim (Constant) -1693.238 342.832 -4.939 .001
Government agency .636 .058 .855 10.874 .000 .989 1.011
Sinking .712 .146 .383 4.864 .001 .989 1.011
Specific
accident
Small sized
ship
(Constant) 485.913 189.447 2.565 .033
Overturn .965 .199 .524 4.853 .001 .318 3.143
Weather influence 1.022 .231 .417 4.427 .002 .417 2.396
Illegality (Renovation) 1.526 .592 .193 2.579 .033 .665 1.505
Sightseeing
boat
(Constant) -138.935 92.468 -1.503 .167
Sinking .324 .072 .537 4.473 .002 .647 1.545
Foreign country .397 .089 .535 4.456 .002 .647 1.545
Ferry Sewol (Constant) -1420.970 977.539 -1.454 .177
Minister 2.147 .353 .887 6.085 .000 1.000 1.000

일반사고인 사고발생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안전장비로 나타났고, 피해자수는 관련 기관 및 침몰사고와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종사고인 소형선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복, 날씨영향, 불법(개조)에 영향력이 높았고, 관광배(세월호도 관광배에 포함)의 경우 외국 및 침몰관련 변수의 영향이 높았으며, 세월호를 별도로의 종속변수로 분석한 결과 Minister인 정치, 정부, 정당 등에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단, 해석에 유의할 점은 다중회귀분석 결과의 내용에서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연관성)이 부족한 부분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및 향후연구

1. 결론 및 시사점

교통사고의 특성은 시간이 흐를수록 신종사고 및 복합 형태로 발생되는 사고가 늘어나고 있다. 국내 사회 전체적 상황은 고령화시대 및 IT시대를 맞이하여 고령자사고, 스몸비 사고 등 신종사고가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정책적 대비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세월호 사건 이후 특히 해양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국민적 안전에 대한 요구는 크게 증가한 만큼, 정부는 국민의 입장에서 공감될 수 있는 해양교통안전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인구, 기술, 경제적 변화 등 시대적 환경변화에 따른 국민적 요구도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만큼, 정책수용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이러한 국민적 요구사항이 계속적으로 정책에 반영되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대적 측면이 잘 반영되어 있고, 다양한 요인과 결합이 가능한 온라인 Social Data를 기반으로 해양안전의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해양안전사고에 대한 가용자료가 한정되어 있고, 그 발생원인도 상대적으로 복잡하므로, Social Data를 활용하여 사고특성 및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방법은 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해 Social Data를 기반으로 해양안전과 관련된 내용을 수집하였으며 key word 분석을 통해 그룹핑 분석 및 영향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월별분석은 월별로 지속적으로 도출되는 단어의 빈도를 기반으로 SPSS를 활용한 영향변수를 도출하였고 분석결과를 통해 해양안전의 영향도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소형선박(선박규모별)의 사고특성은 기계관련 및 날씨관련 사고율이 높고, 이는 예방활동 및 안전장비가 필요하며 인근병원의 접근성 역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선 및 낚시어선(선종별)의 사고특성은 전남지역에서 충돌, 화재, 바람에 의한 사고율이 높고, 이는 신속한 어선위치(통신관련)파악이 중요하며 해양수산부의 역할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풍경보(기상별)의 사고특성은 선박 및 어선을 중심으로 남해안 지역에서 날씨에 의한 사고율이 높고, 이는 신속한 대피 및 주의를 요구하며, 기상청 및 안전대책 본부의 역할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복(사고유형별)의 사고특성은 선박 및 어선을 중심으로 전남 및 남해안 지역에서 정원초과 및 선장 등에 의한 사고율이 높고, 이는 야간사고에 대비책을 요구하며, 해양수산부 및 해양경찰 등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악화(사고원인별)의 사고특성은 증편, 운항횟수 등 무리한 운항을 통한 사고율이 높고 이는 운항통제 및 구조장비의 개선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각 주요통계의 7개 항목을 기준 값으로 선정한 뒤 사고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통계항목별 안전사고 개선방안을 위해 본 연구에서 분석한 사고특성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현재 국가에서 수립 중인 교통안전 기본계회 등이 본 연구에서 분석된 주요단어 및 사고특성 분석 내용이 충분히 담겨 있는지 점검도 필요할 것이다.

분석 결과를 보면, 해양안전은 전문영역이며 일반시민이 접근하기 상대적으로 어려운 만큼 소셜 데이터에서 일반시민 입장의 단어비중은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역으로 해양안전에 대해 일반시민 사이에게 충분히 논의되고 있지 않는 것은 아닌지, 또는 일반시민에게 해양안전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닌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반성적 기회를 제공한다. 세월호 사고 이후로 일반시민도 해양안전에 대한 관심과 집중이 강화되고 있지만 안전의식의 생활화, 안전문화의 확산 등을 위하여는 해양안전에 대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논의가 대중적으로 확산되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외 월별에 따른 사고특성 분석을 위해 월별로 지속적으로 도출되는 단어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사고인 사고발생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안전장비로 나타났으며 피해자수의 영향변수는 관련 기관 및 침몰사고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고발생건수를 줄이기 위해 안정장비에 대한 철저한 준비 및 점검이 필요하며, 피해자 수를 줄이기 위해 침몰사고에 대한 대비책 강화, 관련기관의 점검 및 훈련 등을 통해 사고발생 건수 및 피해자수를 줄일 필요가 있겠다.

특종사고인 소형선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복, 날씨영향, 불법(개조)에 영향력이 높았고, 관광배의 경우 외국 및 침몰관련 변수의 영향이 높았으며, 세월호의 경우 정부에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세월호는 관광배인 만큼 관광배의 특성도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정치, 정부, 정당과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상의 연관 검색어를 기반으로 영향변수가 도출된 만큼 직접적인 대안책으로 다소 무리가 존재하나 추후 정량적 데이터와 융합을 통해 사용된다면 보다 적용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2. 향후연구

본 연구는 해양안전의 영향도를 분석하기 위해 Social Data를 기반으로 키워드 분석 및 영향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해양안전은 일반시민들에게 접근하기 어렵고, 전문분야인 만큼 다양한 Social Data를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일부 변수에서 R제곱이 높게 나타난 것 역시 해양사고와 관련된 Social Data는 전문적 단어가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단어의 선택이 일부 집중됨을 보이고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키워드 분석이외 구문분석, 형태소 분석 등의 분석이 필요하나 본 연구는 단어(명사 기준)로 이루어진 키워드 분석만을 시행한 만큼 영향도 분석에서 연구의 한계가 도출되었다. 명사만을 기준으로 영향도 분석을 시행한 만큼 유사단어가 원인 및 결과 등의 해석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었다.

하지만 Social Data를 사용한다는 것은 정량적 데이터에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가능케 함으로 보다 강력한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시대적 트렌드에 영향이 높은 분야일수록 적용가능성이 높은 분석방법이다.

추후에는 이러한 한계점 이외 일반시민에게 보다 알려진 주제를 선정(교통안전, 환경문제 등) 및 구문/구절 분석 등이 추가 분석된다면 국가정책수립에 보다 나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알림

본 연구는 한국법제연구원의 해양의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khtar N. (2014), Social Network Analysis Tools, In Communication Systems and Network Technologies (CSNT), 2014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388-392.
10.1109/CSNT.2014.83
2
Borgatti S. P., Mehra A., Brass D. J., Labianca G. (2009), Network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Science, 323 (5916), 892-895.
10.1126/science.116582119213908
3
Choi J. Y., Jung C. Y., Kwon S. H., (2014),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Newspaper Articles on Big Data,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31(1), 241-286.
4
Han D. H. (2016), "Traffic Safety" Social Data Analysis Results and Policy Proposal,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 of Transportation, Monthly KOTI Magazine on Transport, September, 223, 80-85.
5
Kim S. H., Kim J. Y., Lee S. J., (201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 Big Data from Social Networking Service for the Operation of Activity-Based Traffic Model,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5(4), 44-53.
10.12815/kits.2016.15.4.044
6
Kim S. Y., Kim E. W., Lee G. W., Kim H. J. (2013), An Economic Validity Analysis on Marine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y, Korea Maritime Institute.
7
Korea Coast Guard (2017), Statistical Yearbook of Marine Accident(2011-2015)
8
Lee K. J., Noh Y. H., Yoon S. G., Cho Y. S. (2014), Structuring of Unstructured Big Data and Visual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6), 1431-1438.
10.7465/jkdi.2014.25.6.1431
9
Lee M. K. (2018), Analysis of Korean Travel Trends Using Social Big Data: Focused on Family Travel and Solo Trave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2(10), 111-134.
10.17086/JTS.2018.42.10.111.134
10
Luo Q., Zhong D. (2015),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Explai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ravel-related Electronic Word-of-mouth on Social Networking sites, Tourism Management, 46, 274-282.
10.1016/j.tourman.2014.07.007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8th National Traffic Safety Master Plan(2017-2021).
1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Marine Accident Safety Execution Plan.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Maritime Safety Law.
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Policy Discussion on the National Oceanic and Transportation Safety.
1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6
Oh D. H. (2017), LGCNS, Web-Social Big Data Application for Strengthening Publicity Opinion Monitoring, Busan Institute of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17
Park J. Y., Kim G., Kim C. Y., Oh H. J. (2016), A Study on Tourism Resource Strategy of Film Location using Social Bigdata based on SNS Trend Analysis of Jeonju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1), 477-487.
10.5392/JKCA.2016.16.11.477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