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ticle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Origin-Destination Traffic Volume Based on Mobile Phone Data: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Korea Transport Database
모바일 통신데이터 기반 기종점 통행량 자료의 특성 분석: KTDB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LEE, Haesun, WON, Minsu
이해선, 원민수
- Recent studies have started leveraging mobile phone data as supplemental information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National Household Survey data (NHS), such …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의 낮은 표본률, 조사 시점과 공표 시점 간의 차이 발생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모바일 통신데이터를 보완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구통행실태조사와 …
- Recent studies have started leveraging mobile phone data as supplemental information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National Household Survey data (NHS), such as low sample rates and the time lag between survey and publication times. However, if Mobile Phone Data (MPD) are to be used as a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source, it is imperative to recognize the factors that lead to discrepancies in origin-destination traffic volumes and comprehend the inherent differences in the methodology used to estimate origin-destination traffic volumes from the National Household Survey initiall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each dataset constructs origin-destination (O/D) traffic volum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rip volumes by purpose, along with their influencing factors, using a decision tree model (CART). The analysis identified trip purpose, travel distance, number of employees, and base station density as key variables. Specifically, for regular trip types such as commuting and school trips, the household travel survey showed higher traffic volumes for long-distance trips, whereas for other trips, the mobile communication data reported higher volumes for short-distance movements. These patterns are interpreted as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how the two datasets recognize and classify trip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traffic volumes may vary between the two datasets depending on trip purpose and regional conditions. The findings offer useful insights for improving mobile data-based algorithms and supplementing traditional travel survey data in future applications.
- COLLAPSE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의 낮은 표본률, 조사 시점과 공표 시점 간의 차이 발생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모바일 통신데이터를 보완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구통행실태조사와 모바일 통신데이터는 자료 특성상 기종점 통행량을 산출하기까지의 방식이 달라, 모바일 통신데이터를 보완 및 대체자료로 활용하려면 이러한 구축 과정의 차이를 이해하고 어떠한 특성에서 기종점 통행량 차이가 나타나는지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자료의 통행량 구축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각 자료별로 추정된 목적별 통행량의 차이와 그 요인을 의사결정나무모형(CAR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행목적, 통행거리, 종사자 수, 기지국 밀도가 주요 영향 변수로 도출되었으며, 통근 및 통학과 같이 정기적인 통행 특성을 지닌 경우에는 장거리 통행에서 가구통행실태조사의 통행량이 더 높게, 기타 통행에서는 단거리 통행에서 모바일 통신데이터의 통행량이 더 높게 집계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는 두 자료 간 통행 인식 및 분류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통행목적과 지역적 조건에 따라 두 자료 간 통행량 집계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모바일 통신데이터 기반 알고리즘 개선 및 조사자료의 보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Origin-Destination Traffic Volume Based on Mobile Phone Data: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Korea Transport Database
-
Article
-
Gender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of Electric Vehicles: Application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확장된 기술수용 모델을 활용한 전기차 수용과 관련된 성별 차이 분석
-
VACCA, Edwin A., KO, Joonho
바카에드윈, 고준호
- Of the more than 25.5 million vehicles registered in South Korea in 2022, electric vehicles (EVs) account for only 1.5%. This study …
2022년 한국에서 등록된 2,550만 대 이상의 차량 중 전기차(EV)는 단 1.5%를 차지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성별에 따른 사용자의 태도와 인식을 통제한 …
- Of the more than 25.5 million vehicles registered in South Korea in 2022, electric vehicles (EVs) account for only 1.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to accept and use EVs after controlling for users’ attitudes and perceptions by gender. In September 2019,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 group of 1,500 prospective customers for EVs who reside in 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As a practical tool to describe the acceptance of EVs,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TAMs) that include seven deliberate variabl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ology. This paper takes a cross-disciplinary approach, merging the TAM, extended TAM, and gender segmentation in the policies and marketing domain. The results show that men tend to be more concerned abou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image of EVs than women. Women, meanwhile,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rust in EVs than men. The perception of risk associated with EVs was found to negatively impact EV adoption for both men and women to a similar exten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guide policy makers and EV manufacturers in identifying gender-differentiated effective strategies toward faster adoption of EVs.
- COLLAPSE
2022년 한국에서 등록된 2,550만 대 이상의 차량 중 전기차(EV)는 단 1.5%를 차지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성별에 따른 사용자의 태도와 인식을 통제한 후, EV 수용 의향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2019년 9월, 한국의 대도시에 거주하는 1,500명의 EV 잠재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EV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실용적인 도구로서, 구조 방정식 모델링 방법론을 기반으로 7개의 변수를 포함한 확장된 기술 수용 모델(TAM)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 및 마케팅 분야에서 TAM, 확장 TAM, 그리고 성별 세분화를 융합하는 교차 학문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연구 결과, 남성은 여성보다 EV의 인지된 편의성과 이미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여성은 남성보다 EV의 인지된 사용 편의성과 신뢰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V와 관련된 위험 인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유사한 정도로 EV 채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 입안자와 EV 제조업체가 성별로 차별화된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Gender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of Electric Vehicles: Application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
Article
-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on Right-Turn Accident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활용한 신호교차로 우회전 사고심각도 영향 요인 분석
-
YOU, Yongsik, YANG, Jeonghun, CHOI, Taehyuk, SONG, Tai-jin
유용식, 양정훈, 최태혁, 송태진
- The government has recently recognized the injury severity on right-turn accidents in the country and has made significant efforts to mitigate related …
최근 정부는 국내 우회전 교통사고의 심각성을 인지하여 관련된 법제도를 정비하는 등 우회전 사고에 따른 피해 저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
- The government has recently recognized the injury severity on right-turn accidents in the country and has made significant efforts to mitigate related damages, including revising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jury severity on right-turn accidents, initiated by the pressing social issue and the lack of prior research in this area. For this study, data covering 253 right-turn accidents over a six-year period (2018–2023) from 25 high-frequency right-turn accident locations nationwide, as reported in press releases, were collected. Based on this data, a total of 23 variables were constructed for each individual accident. Using the constructed dataset, the factors influencing accident severity were analyzed using the Random Forest model, a widely used approach in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and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dvantage of using a random forest model to select important variables and logistic regression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effect is that you can consider both the performa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This study identified se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p < 0.05): the age group of the pedestrian victim (human-related), the type of offending vehicle (vehicle-related), and five road-traffic-related factors, speed limit, dedicated right-turn lane, the presence of raised crosswalks, the distance between the stop line and the crosswalk, and the right-turn curve radi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assist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in formulating effective measures to substantially reduce right-turn accidents.
- COLLAPSE
최근 정부는 국내 우회전 교통사고의 심각성을 인지하여 관련된 법제도를 정비하는 등 우회전 사고에 따른 피해 저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사회적 배경, 그리고 관련된 선행연구의 부재에 따라 우회전 사고심각도의 영향 요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보도자료에서 발표된 전국의 우회전 사고다발지 25개에 대한 최근 6년(2018-2023)간의 우회전 사고자료 253건이 수집되었다. 이를 토대로 총 23개의 변수를 개별 사고별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가지고 기계학습 분류모형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랜덤포레스트 모형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사고심각도 요인을 분석하였다. 두가지 모델을 같이 사용하는 방법은 모델의 성능과 설명력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 결과, 총 7개의 요인(인적 측면에 해당되는 피해 보행자 연령층, 차량 측면에 해당되는 가해 차량의 차종, 도로교통 측면에 해당되는 접근로 제한속도, 우회전 전용차로 유무, 고원식 횡단보도 유무, 정지선-횡단보도 간격, 우회전 곡선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p < 0.05)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정책 결정권자 및 실무자로 하여금 국내 우회전 사고에 대한 실질적 감소대책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에는 우회전 교통사고 다발교차로와 미발생 교차로간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운전자 행태자료가 결합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on Right-Turn Accident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Machine Learning
-
Article
-
Optimal Route Choice Model Using Traffic Signal Information on Urban Network
실시간 신호정보 기반 동적 환경 최적 경로 모형 개발
-
KIM, Sehyeon, HAN, Yohee, KIM, Youngchan
김세현, 한여희, 김영찬
- In the recent years,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ITS technology, vehicles now have increased access to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Consequently, there …
최근 ITS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의 실시간 교통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됨에 따라, 신호교차로에서의 신호운영정보를 반영한 효율적인 경로 탐색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
- In the recent years,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ITS technology, vehicles now have increased access to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Consequent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route search techniques that incorporate traffic signal operation inform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This study proposes an optimal route choice model that considers traffic signal progression based on the individual vehicle's intersection entry time. The model calculates link travel time by summing the free-flow travel time and traffic signal delay and applies an uncertainty weight to calculate the route travel time. This process identifies the optimal route with the minimum travel time. A preliminary analysis using a toy network showed that the model effectively provides routes that reduce waiting time. Additionally, another network was constructed in a SUMO simulation environment to analyze the provision of optimal routes and compare them with other route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provides the optimal route with a high probability and improves the average travel time compared to existing route model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travel time for vehicles and mitigating urban traffic congestion.
- COLLAPSE
최근 ITS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의 실시간 교통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됨에 따라, 신호교차로에서의 신호운영정보를 반영한 효율적인 경로 탐색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차량의 교차로 진입 시점을 기반으로 신호 연동성을 고려한 최적 경로 탐색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자유통행시간과 신호 대기시간을 합산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산정하고, 불확실성 가중치를 적용하여 경로 통행시간을 계산한다. 이를 통해 최소 통행시간을 갖는 최적 경로를 도출한다. 토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전 분석 결과, 본 모형은 신호 대기시간을 줄여주는 경로를 제공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SUMO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최적 경로 제공 및 타 경로 모형과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로 제어 대상 차량 외 다른 교통량은 없는 상황을 기준으로 분석 결과, 본 모형은 높은 확률로 최적 경로를 제공하며, 기존 경로 모형들에 비해 평균 통행시간을 단축하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량의 통행시간 단축 및 도시 교통 혼잡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Optimal Route Choice Model Using Traffic Signal Information on Urban Network
-
Article
-
Analysis of Potential Traffic Safety Improvement Benefits by Autonomous Vehicles on Freeways
고속도로 자율주행 도입에 따른 잠재적 교통안전 개선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JIN, Hyeonseok, JUNG, Aram, OH, Cheol
진현석, 정아람, 오철
- Autonomous vehicles (AVs) are expected to show more stable driving behavior than manual vehicles (MVs), which results in higher possibility of improving …
자율차는 비자율자에 비해 안정적인 주행행태를 보여 교통류의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혼재교통류에서는 자율차(Autonomous vehicle, AV)와 비자율차(Manual vehicle, MV)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며, 4가지 추종 …
- Autonomous vehicles (AVs) are expected to show more stable driving behavior than manual vehicles (MVs), which results in higher possibility of improving safety in the traffic flow. In uninterrupted mixed traffic flow, vehicle interactions between AVs and MVs occur in car following situations. These car following situations ar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such as AV-AV pair, MV-AV pair, AV-MV pair, and MV-MV pair. The four types of car following situations in the mixed traffic flows a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safety characteristics due to differences in the driving behavior of each driving p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potential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benefits based on the analysis of mixed car following situations on freeways. In this study, a multi-agent driving simulator (MADS) was used to collect driving behavior information and analyze driving safety in mixed car following situations. A novel measure, referred to as safety improvement score (SIS), is proposed as a part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o evaluate the impact of introducing AVs on traffic safety. Results show that freeway hazardous spots and sections are observed at interchanges, deceleration lanes, and acceleration lanes, in which merging and diverging events occurs frequently. The largest safety improvement based on SIS due to AVs is achievable in the entry and exit situations of freeway interchanges, and the safety improvement is less effective on freeway mainlines such as straight and curved sections. In particular, the following MV in AV-MV pair on straight sections was analyzed to have less safety improvement due to the low compliance with the conservative driving behavior of the leading AV.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ies and to identify road sections where road safety facilities, including infrastructure-based AV guidance information, need to be installed.
- COLLAPSE
자율차는 비자율자에 비해 안정적인 주행행태를 보여 교통류의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혼재교통류에서는 자율차(Autonomous vehicle, AV)와 비자율차(Manual vehicle, MV)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며, 4가지 추종 상황(AV-AV 쌍, MV-AV 쌍, AV-MV 쌍, MV-MV 쌍)이 나타난다. 혼재교통류의 4가지 차량 추종 상황은 추종 상황별 주행행태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안전성을 가질 것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 도입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잠재적 교통안전 개선 효과를 계량화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에이전트 주행 시뮬레이터(Multi-Agent driving simulator, MADS)를 활용해 주행행태정보를 수집하고, 혼합 차량 추종 상황에서의 주행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자율주행차 도입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안전성 개선 점수(Safety improvement score, SIS)를 제시하였다. 주행안전성 분석결과, 도로 위험 지점 및 구간은 모든 추종 상황에서 인터체인지, 감속차로, 가속차로를 포함한 인터체인지 진출입 상황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강제적인 차로변경 및 가·감속으로 인해 차량의 주행안전성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SIS 분석결과,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진출입 상황에서 SIS 기반 안전성이 가장 크게 개선되며, 고속도로 본선에서는 안전성 개선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선 구간에서 AV-MV 쌍의 후행 비자율차는 선행 자율차의 보수적인 주행행태에 순응하는 정도가 낮아 교통안전 개선 효과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방향 제시 및 혼재교통류의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교통인프라 설치 구간 선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Analysis of Potential Traffic Safety Improvement Benefits by Autonomous Vehicles on Freeways
-
Article
-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Seoul Citizens’ Willingness to Pay for Low-floor Bus Use : Application of the Double-Hurdle Model
서울시민의 저상버스 이용 지불의사액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이중허들모형의 활용
-
JANG, Seunghwa, KIM, Saehim, PARK, Jonghan, KO, Joonho
장승화, 김새힘, 박종한, 고준호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additional introduction of low-floor bus in Seoul at …
본 연구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서울시 시내버스 저상버스 도입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추가 도입하는 것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추정하고 지불의사와 지불수준 각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additional introduction of low-floor bus in Seoul at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pay and the level of payment, thereby providing quantitativ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low-floor bus policy. To derive the willingness to pay, we utiliz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survey data from 1,473 Seoul citizens aged 20 or older, including 289 elderly respondents aged 65 or older. For the analysis, we divided the willingness to pay and the level of payment into two stages and used the double-hurdle negative binomial model to handle data overdispersion. Sixty-seven percent of respondents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y, and the average stated amount was about KRW 171.36. As a result, age, health condition, support for mobility handicapped policy, and monthly city bus fare expendi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willingness to pay, while age, household income, and experience using low-floor bus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vel of payment, confirming that willingness to pay and the level of payment were affected by different fact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by providing quantitative policy data necessary for the additional introduction of low-floor buses to enhance mobility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 COLLAPSE
본 연구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서울시 시내버스 저상버스 도입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추가 도입하는 것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추정하고 지불의사와 지불수준 각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 저상버스 정책에 필요한 계량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지불의사금액 도출을 위해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고령자 289명을 포함한 20대 이상 서울시민 1,473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모형으로는 지불의사와 지불수준을 두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고 데이터 과분산 처리를 위해 이중허들 음이항 모형을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67%가 지불의사를 보였으며, 평균 지불의사금액은 약 171.36원이었다. 지불의사에는 연령, 건강 상태, 교통약자 지원 정책 지지도, 시내버스 요금 지출액이 영향을 주었으며 지불수준에는 연령, 가구소득, 저상버스 이용 여부가 유의하여 지불의사와 지불수준이 각각 다른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통약자 이동성 확대를 위한 저상버스 추가 도입 정책을 위한 계량적 정책 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실무적 기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Seoul Citizens’ Willingness to Pay for Low-floor Bus Use : Application of the Double-Hurdle Model
-
Article
-
Analysis of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Merging Area on Underground Road
교통 시뮬레이션 기반 지상도로와 지하도로 합류부 교통운영 전략 평가
-
LEE, Hoyoon, KO, Jieun, JIN, Hyeonseok, OH, Cheol
이호윤, 고지은, 진현석, 오철
- There have continuously been plans to operate urban underground roads in South Korea to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and make ground space pedestrian-friendly. …
국내 수도권을 중심으로 교통혼잡 완화와 지상 공간의 보행친화적 활용을 위한 도심부 지하도로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도로용량 증대를 위해 수평적 도로 공간 확장을 …
- There have continuously been plans to operate urban underground roads in South Korea to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and make ground space pedestrian-friendly. Increasing road capacity through three-dimensional utilization of road space is requi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lanar space. However, operating underground roads necessarily requires the connection between ground and underground roads, which leads to additional traffic congestion and conflicts between different traffic flows. This study analyzed traffic operations strategies to improve mobility and safety at the merging area on underground roads based on microscopic simulations. Simulation scenarios include the lane change allowance and heavy vehicle restrictions on the underground road, metering technique for entering vehicles, and a baseline without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eration of metering on the ground road led to the highest increase in average speed (5.44km/h, 12.65%) and throughput (84veh/h, 0.99%) in the merging area, compared to the baselin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hoc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improvement effect, which suggested that metering operation enhances the mobility performance in terms of average speed. Next, the results of conflict analysi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conflicts in the merging area decreased by 744 (29.25%)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metering.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traffic operation strategy to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urban underground roads.
- COLLAPSE
국내 수도권을 중심으로 교통혼잡 완화와 지상 공간의 보행친화적 활용을 위한 도심부 지하도로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도로용량 증대를 위해 수평적 도로 공간 확장을 극복하기 위한 도로 공간의 입체적인 공간 활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지하도로 운영 시 지상도로와 지하도로의 연계가 불가피하며 서로 다른 교통류의 상충으로 인해 교통혼잡이 가중되고 도로 안전에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하도로와 지상도로 합류 구간의 이동성 및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통운영 전략을 분석하였다. 지하도로 내 차로변경 허용, 지하도로 내 진입 차종 제한, 합류 차량에 대한 미터링과 교통운영 전략을 시행하지 않은 기본안을 포함하여 총 4가지 시나리오의 교통류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접속한 지상도로에 미터링을 시행하는 경우 교통운영 전략 미시행 대비 평균속도가 5.44km/h(12.65%) 증가하였으며 통과교통량이 84대/시(0.99%) 증가하여 이동성 개선 효과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통해 합류 구간에 대한 시나리오별 개선 효과의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미터링 방안의 평균속도 개선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상충 분석 기반 교통운영 전략의 안전성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미터링 시행으로 전체 상충이 744건(29.25%)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지하도로 운영 효율성 개선을 위한 교통운영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nalysis of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Merging Area on Underground Road
-
Article
-
RTC Location Selection and UAM-Based Service Area Analysis for Improv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Local Areas
의료취약지역에서의 응급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한 RTC 위치 결정 및 UAM 기반 서비스 권역 분석
-
NOH, Seyoung, DO, Myungsik
노세영, 도명식
- Limited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underserved areas poses a critical threat to patients requiring urgent care, often resulting in delayed …
의료취약지역의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 부족은 긴급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응급상황 발생 시 …
- Limited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underserved areas poses a critical threat to patients requiring urgent care, often resulting in delayed treatment due to inadequate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constraints.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to enhance emergency medical accessibility using Urban Air Mobility (UAM) technolog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conventional ambulance-based and UAM-based transport systems, focusing on spatial coverage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 Chungcheong region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optimal locations for Regional Trauma Centers (RTCs) were identified using GIS-based spatial analysis and a location-allocation model. Results indicate that deploying five RTCs enables approximately 90% of the population to receive emergency care within the golden hour, increasing to over 95% with seven RTCs. The introduction of UAM reduced average transport time by up to 24%,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particularly in areas with severe ground traffic conges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trade-off between travel time reduction and population coverage as RTC numbers increase. While time-saving effects diminish beyond a certain threshold, population coverage continues to improve, suggesting that both efficiency and equity should inform facility planning. Additionally, the study proposes a hybrid emergency transport model integrating ground ambulances with UAM-based eVTOL systems, offering a more flexible and adaptive approach to emergency medical response. This model shows potential for enhancing response time and service coverage in geographically constrained areas.
- COLLAPSE
의료취약지역의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 부족은 긴급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응급상황 발생 시 적절한 시간에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우며, 교통체증과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이송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상 기반 응급이송체계를 보완하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이송수단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취약지역의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 구급차 기반 이송 시스템과 비교하여 UAM 기반 응급이송체계가 가지는 공간적 효과와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응급이송모델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 지역은 충청권으로 설정하였으며,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새로운 권역외상센터(Regional Trauma Center, RTC)의 최적 입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GIS 기반 공간분석 및 입지-배분(Location-Allocation)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RTC의 입지별 서비스 커버리지와 UAM 도입에 따른 이동시간 단축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RTC를 5개소 배치할 경우 충청권 인구의 약 90%가 골든타임 내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개소로 확대할 경우 서비스 커버리지가 95%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RTC의 적정 개수 및 입지 최적화가 응급환자의 치료 가능성 향상에 핵심적인 요소임을 시사한다. 또한, UAM을 도입할 경우 평균 이동시간이 최대 24% 단축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특히 지상 교통망의 혼잡도가 높은 지역에서 높은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취약지역에서의 응급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을 제시하며, 향후 응급이송체계의 고도화에 있어 도심항공교통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RTC Location Selection and UAM-Based Service Area Analysis for Improv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Local Areas